에너지/환경 세계 해상풍력 실적과 전망
- 관리자 (irsglobal1)
- 2020-08-09 11:16:00
- hit1699
- 125.133.199.180
1-1. 해상풍력발전의 도입 실적(세계 : REN21)
<그림1> 세계 해상풍력발전 도입량 및 지역별 내역 추이(REN21)
자료 : REN21 “Renewables 2019 Global Status Report” Figure 37(2019.06)
REN21의 연차 보고서에 따르면, 해상풍력발전의 전 세계의 도입량은, 2008년에 1.5GW였으며, 2018년에는 23.1GW가 되어, 10년 만에 22GW 가까이 증가함으로써 15배 이상이 되었다고 한다.
2018년 말에는, 전 세계 17개국(유럽 11개국ㆍ아시아 5개국ㆍ북미 1개국)에 도입되었다. 설비 용량은 영국이 8GW로 가장 많고, 다음으로 독일(6.4GW), 중국(4.4GW), 덴마크(1.3GW), 벨기에(1.2GW)이다.
점유율을 살펴보면, 유럽이 전체의 약 79%를 차지하는데, 2017년(84%), 2016년(88%)에 비하면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. 그 외에는 거의 다 아시아이다.
지역별 도입 시기를 살펴보면, 처음 유럽에서 영국, 독일, 덴마크 등의 도입량이 증가하였고, 다음으로 아시아의 중국, 대만에서 도입되기 시작하였다. 최근에는 미국에서 프로젝트를 발표하였다.
세계 풍력 에너지 회의(GWEC)의 보고서를 바탕으로, 2018년 전 세계의 도입량 및 국가별 비율을 그림2에 나타내었다. 신규 도입량(왼쪽)을 살펴보면, 4.5GW 중 중국이 40%를 점유하고 있으며, 영국이 29%, 독일이 22%였다. 누적 도입량(오른쪽)을 보면, 영국이 34%를 차지하며, 다음으로 독일이 28%, 중국이 20%가 되었다.
두 그래프를 비교하면, 영국, 독일, 중국이 신규 도입량과 누적 도입량 모두에서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. 중국은 신규 도입량이 1위, 누적 도입량은 3위인데,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중국의 누적 도입량이 1위가 될 가능성도 있음을 알 수 있다.
<그림2> 해상풍력발전의 2018년 전 세계 도입량 및 국가별 비율(GWEC)
자료 : GWEC “Global Wind Report 2018”(2019.04)
1-2. 해상풍력발전의 도입 실적(지역별 : GWEC)
마찬가지로 GWEC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2017~2018년의 신규 도입량과 누적 설비 용량에 대해, 국가별 내역을 표1로 나타내었다.
<표1> 해상풍력발전의 지역 및 국가별 도입 실적(GWEC)
1-3. 해상풍력발전의 도입 전망(지역ㆍ각국의 정책 목표 : IEA)
IEA WEO 2019를 바탕으로, 주요 국가의 해상풍력발전의 정책 목표를 아래 표로 나타냈다. 2030년까지 10GW 이상을 도입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국가들도 있다. 가장 큰 야심을 가진 지역은 유럽이며, EU 가맹국의 목표 값을 합치면 2030년까지 65GW에서 85GW를 목표로 하고 있다. 중국은 ‘제13차 5개년 계획’에 근거하여, 2020년까지 5GW를 목표로 한다. 미국에서는 각 주의 정부가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, 국가 전체에서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. 인도, 한국, 대만 역시 야심적인 목표를 갖고 있으며, 일본 및 캐나다를 포함한 다른 국가들은 미래의 해상풍력발전 개발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단계에 있다.
<표2> 2030년까지 10GW 이상 도입하고자 하는 지역ㆍ국가의 정책 목표(IEA)
자료 : IEA “World Energy Outlook 2019” Table 14.3(2019.11)
번호 | 분류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조회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
532 | etc | 농업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photo | 관리자 | 2021-01-05 | hit222 |
531 | ICT/정보통신 | ‘Robotics Transformation(RX)’로 변화하는 건설업 photo | 관리자 | 2021-01-05 | hit387 |
530 | ICT/정보통신 | 로봇의 도입이 코로나 사태로 인해 건설 현장에서도 가속화 photo | 관리자 | 2021-01-05 | hit268 |
529 | ICT/정보통신 | 토목ㆍ건설 업계에서 진행되는 드론의 활용 - 주목받는 이유와 도입 시 주의할 점 photo | 관리자 | 2021-01-05 | hit221 |
528 | ICT/정보통신 | 건설 현장에서 드론을 이용할 때 확인해야 하는 5가지(일본) photo | 관리자 | 2021-01-05 | hit187 |
527 | 바이오/의료 | 미국 HIPAA 규칙 개정으로 보는 의료 프로세스의 DX 추진과 개인 건강 기록 보호의 균형 photo | 관리자 | 2020-12-08 | hit385 |
526 | 자동차/로봇 | 인간은 사이보그가 될 수 있을까? ‘신체 확장’의 가능성 photo | 관리자 | 2020-12-08 | hit349 |
525 | ICT/정보통신 | 어댑티브 러닝(적응학습)에서의 AI 활용 사례 <해외 편> photo | 관리자 | 2020-12-08 | hit429 |
524 | ICT/정보통신 | ICT로 교육이 변화하고 있다.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에듀테크(EduTech)~ photo | 관리자 | 2020-12-08 | hit591 |